Connect with us


Opinion

차봇 모빌리티, 실리콘밸리 거장 엔지니어 ‘존 웨인라이트’ 기술 고문 선임

Published

on

존 웨인라이트(John Wainwright)
차봇모빌리티 기술고문에 선임된 존 웨인라이트(John Wainwright)

스타트업 차봇 모빌리티가 기술 고문으로 미국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1세대 개발 엔지니어 ‘존 웨인라이트(John Wainwright)’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호주출신인 존 웨인라이트는 ‘엔터프라이즈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ECDN) 인프라 제공 업체로 주가를 올리고 있는 콜렉티브 테크놀로지(Kollective Technology) CTO 출신이다. 그는 아마존(Amazon)의 첫번째 도서 구매 고객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존 웨인라이트는 차봇 모빌리티가 하반기 론칭 예정으로 한창 준비 작업이 진행 중인 B2C 플랫폼과 관련해 지난달 1일부터 활동을 시작했다고 차봇측은 설명했다. 특히 차봇 모빌리티의 운전자 중심 B2C 플랫폼에 대한 기술 자문 및 사업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차봇 모빌리티 강성근 대표는 존 웨인라이트 기술 고문 선임에 대해 “실리콘밸리 거장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가 차봇 모빌리티 성장에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byline bar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engineers channel
Continue Reading
Advertisement



Click to comment

댓글 남기기

Features

중국이 먼저 수요 기반 자율 모빌리티 시대로 간다

중간의 복잡한 단계를 뛰어 넘어, 중국이 먼저 글로벌 시장에서 수요 기반 자율 모빌리티 시대로 들어서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어서 주목된다

Published

on

By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의 급격한 성장이 새로운 자율 모빌리티를 발전시킨다

지난 수 년간 중국의 인터넷 경제는 모바일 인터넷의 광범위한 채택에 힘입어 폭발적인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 이 획기적인 행보는 다양한 인구층에게 인터넷 접근을 민주화하며, 일상생활을 재편성하고 빠른 기술적이고 경제적인 변화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기에 충분했다.

스마트 기기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급증은 온라인 서비스의 빠른 확장을 촉진하여 모든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경제의 발전이 자동차 산업과 융합됨에 따라 혁신적인 모빌리티(이동성) 솔루션을 위한 엄청난 기회를 맞이했다.

이러한 중국에서의 수요 기반 자율 모빌리티(이동성) 시대에 대한 전망은 오토모빌리티 창업자 겸 회장인 Bill Russo가 작성한 “제3의 파괴적 혁신: 수요 기반 자율 모빌리티(The Third Wave of Disruption: Autonomous Mobility on Demand)” 글에서 잘 설명하고 있다.

그는 디지털 IoM(Internet of Mobility)의 발전이 산업 비즈니스 모델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해 왔다. 시장에 가치를 전달하는 방식을 완전히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자동차 산업의 이해관계자들은 제품인 자동차에서 파생되는 유틸리티인 “자율 모빌리티(이동성)”으로 초점을 확장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슈퍼 스케일러’로 알려진 중국은 새로운 디지털 IoM 기술을 상용화에 적응하고 확장하는 비할 수 없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글로벌 산업 관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은 세계 다른 나라들보다 훨씬 앞서 있으며, ‘수요 기반 자율 이동성(AMOD; Autonomous Mobility on Demand)’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는 분석인 것이다.

중간의 복잡한 단계를 뛰어 넘어, 중국이 먼저 글로벌 시장에서 수요 기반 자율 모빌리티 시대로 들어서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어서 주목된다.

Good and People mobility
(image. Automobility analysis)

그가 설명하는 수요 기반 자율 모빌리티를 지원하는 논리는 ‘자율 모빌리티 혁명’에서 시작된다. 오토모빌리티 Bill Russo 창업자의 글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최근 몇 년 동안 자동차 산업은 ‘자동 이동성 혁명’이라는 개념 아래 세 가지 주요 혁신의 물결을 경험하고 있다. 이 이론은 2017년 (오토모빌리티) 회사 설립 이래로 기술이 비즈니스 모델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중국에서 이러한 변화는 다른 국가들보다 훨씬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는 이제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이는 모바일 인터넷으로 구동되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접근된다. 이러한 스마트 기술은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장치에 통합되고 있으며, 이는 이동 수단의 수익화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에서 앱 기반의 수요 맞춤형 이동 솔루션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자율 이동성 1.0 시대’의 핵심이었다.

모빌리티 서비스는 우리의 일상생활을 연결해 주며, 여러 교통 시스템과 주차 인프라, 충전소, 공공 서비스가 수요 기반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인터넷 기업과 기기 제조업체들의 투자도 이끌어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은 ‘스마트 전기차’와 ‘지능형 연결 차량’을 완전히 수용하며 ‘자율 이동성 2.0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에너지 차량과 첨단 운전 보조 시스템(ADAS)의 상용화가 가속화되고, 이는 이동성을 더욱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만들어준다.

향후 ‘자율 이동성 3.0’ 시대에서는 자율주행 택시와 로보배송이 주류를 이룰 것이다. 이 시대의 차량은 사용자 중심의 특성으로 설계되며,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된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 완전한 IoM 생태계가 구축되어 차량과 인프라, 클라우드 플랫폼이 통합되면서 데이터 기반의 원활한 이동 솔루션이 가능해질 것이다.

byline bar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engineers channel
Continue Reading

Features

현대자동차,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도 전략 제시.. 향후 10년간 연평균 12조원씩 투자

현대차는 향후 10년간 연평균 12조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면서 완성차 기술력을 혁신하는 한편, 다양한 모빌리티 사업으로의 확장을 추진하고 에너지 사업자로의 역할을 강화해 수소 사회로의 조기 전환에도 나선다

Published

on

By

CEO Investor Day 개최.. 시장 선도 위한 중장기 미래 전략 ‘현대 웨이’ 공개

현대자동차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 경쟁력을 바탕으로 자동차 업계를 선도하고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글로벌 톱 티어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선언했다.

현대차는 향후 10년간 연평균 12조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면서 완성차 기술력을 혁신하는 한편, 다양한 모빌리티 사업으로의 확장을 추진하고 에너지 사업자로의 역할을 강화해 수소 사회로의 조기 전환에도 매진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28일(수)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2024 CEO 인베스터 데이(CEO Investor Day)’를 개최하고,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기 위해 또 다른 미래를 준비하는 현대차의 새로운 중장기 전략 ‘현대 웨이(Hyundai Way)’를 발표했다.

온라인으로 생중계(링크)된 이번 행사에는 장재훈 대표이사 사장과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hief Operating Officer) 호세 무뇨스 사장, GSO(Global Strategy Office)본부장 김흥수 부사장, 글로벌상용&수소사업본부장 켄 라미레즈 부사장, 전동화에너지솔루션담당 김창환 전무, 기획재경본부장 이승조 전무 등이 발표자로 나서 중장기 전략에 관해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 현대차는 미래 모빌리티 브랜드로 한발 더 나아가기 위한 새로운 도전의 시작을 알렸다.

현대차는 2024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총 120조5000억원을 투자해 ‘현대 웨이’ 실행을 적극 뒷받침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했던 10년간(2023~2032년) 투자액 109조4000억원 대비 10.1% 늘린 금액이다.

장재훈 사장은 “현대 웨이는 불확실한 시장 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현대차만의 유연한 대응 체계로 시장에 기민하게 대응하면서, 모빌리티와 에너지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기 위한 전략”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장재훈 사장은 “현대차는 완성차 제조를 넘어, 다양한 모빌리티로의 확장을 추진해 게임 체인저의 입지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에너지 사업자의 역할도 강화해 수소 사회를 실현함으로써 에너지 전환 시기에도 글로벌 톱 티어 리더십을 지속할 수 있는 회사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장재훈 사장이 2024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장재훈 사장이 2024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고 있다 (image. 현대자동차)

차세대 하이브리드와 EREV 도입, 전기차 풀라인업 구축

현대차는 중장기 전략 ‘현대 웨이’를 통해 2030년 제네시스 포함 555만 대의 연간 판매량을 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23년 판매 실적 대비 약 30% 이상 많은 물량으로 이를 위해 글로벌 사업장에 생산시설을 지속해서 확장해 추가로 100만 대 생산능력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전기차 모델은 2030년 200만 대를 판매해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약 36%를 채울 계획이며, 이중 주요 시장인 북미에서 69만 대, 유럽에서 46만7000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다.

현대차는 ‘현대 웨이’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장기적으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현대차의 핵심 역량을 의미하는 ‘현대 다이내믹 캐파빌리티(Hyundai Dynamic Capabilities)’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했던 생산 유연성 중심의 ‘현대 모터 웨이(Hyundai Motor Way)’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현대차는 단기적으로는 전동화 전환 속도가 둔화하는 시장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면서 동시에 기존에 확보한 역량을 바탕으로 전기차(EV) 경쟁력 강화를 통한 전동화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우선 현대차는 자체 개발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차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준중형 및 중형 차급 중심으로 적용됐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소형, 대형, 럭셔리 차급까지 기존 7차종에서 14차종으로 확대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제네시스의 경우, 전기차 전용 모델을 제외한 전 차종에 하이브리드 옵션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현대차는 기존 하이브리드 시스템인 TMED 대비 성능과 연비가 대폭 개선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TMED-Ⅱ를 2025년 1월부터 양산 차량에 적용할 계획이다. TMED-Ⅱ는 기존 시스템과 동등한 수준의 원가를 유지하면서도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켜 출력 및 연비 면에서 경쟁사 시스템 대비 우위를 확보했다.

향후 양산될 하이브리드 차량은 스마트 회생제동, 차량 외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V2L(Vehicle to Load) 기능 등 하이브리드 특화 프리미엄 기술도 적용해 상품성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강화된 하이브리드 경쟁력을 바탕으로 현대차는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며, 2028년에는 지난해 글로벌 판매 계획 대비 40% 정도 증가한 133만 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현대차는 이를 위해 글로벌 주요 거점의 공장을 적극 활용해 하이브리드 차종 투입을 통한 혼류생산 체제 도입과 부품 공급망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올해 4분기 가동을 앞둔 미국 조지아주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이하 HMGMA)’에서는 아이오닉 5, 대형 전기 SUV 아이오닉 9 등의 전기차 이외에도 하이브리드 차량을 생산할 예정이어서 특히 하이브리드 공급이 부족한 북미 시장에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전동화 속도 둔화에 대응하기 위한 두 번째 방안으로 EREV(Extended Range Electrified Vehicle)도 선보인다. EREV는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장점을 각각 적용한 차량으로, 전기차와 같이 전력으로 구동하지만 엔진이 전기를 생산해 배터리 충전을 지원한다. 현대차는 독자적인 신규 파워시스템(PT/PE) 개발을 통해 2개의 모터로도 사륜구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했다.

현대차는 기존 엔진을 최대한 활용하고, 원가 비중이 높은 배터리 용량은 약 30% 축소함으로써 동급 전기차 대비 EREV의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비교해도 경쟁력 있는 판매 가격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또한 현대차는 EREV에 전기차에서만 느낄 수 있는 특유의 주행 상품성을 적용하고 완충 시 900km 이상 주행 가능하게 하는 등 EREV가 전동화 전환의 가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EREV는 2026년 말 북미와 중국에서 양산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에 돌입한다. 현대차는 북미 시장에는 EREV 중에서도 현대와 제네시스 브랜드의 D급(중형) SUV 차종을 우선 투입하기로 했으며 연간 8만 대 이상 판매한다는 목표다.

경제형 C급(준중형) 플랫폼을 활용한 EREV는 중국에서 연간 3만 대 이상 판매할 계획이다. 그 밖의 지역에 대해서는 향후 시장 상황에 맞춰 EREV 판매를 검토할 예정이다.

이와 같이 현대차는 하이브리드와 EREV로 시장에 대응하며 수익성을 확보하는 한편, 전동화 수요 회복이 예상되는 2030년까지 점진적으로 전기차 모델을 확대할 계획이다. 경제형 EV에서부터 럭셔리·고성능까지 전기차 풀라인업을 구축하고, 전기차 모델을 21개까지 확대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에 시장을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장재훈 사장은 “전동화 시대의 현대차는 대중 브랜드뿐 아니라 럭셔리 및 고성능 모델까지 모든 전기차 라인업을 가장 빠르게 선보인 독보적인 기업”이라며 “과거부터 축적해 온 최고 수준의 기술과 혁신을 위한 도전, 이러한 강점을 기반으로 현대차는 계속해 앞으로 다가올 전동화 시대를 대비하고 전기차 시장을 리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배터리 역량 강화와 내재화로 전기차 경쟁력 확보 추진

현대차는 전기차 성능 및 안전,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배터리 역량 강화 또한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전기차, 수소전기차 등 유일하게 배터리 시스템 전 라인업을 확보한 글로벌 기업으로서 내재화된 배터리 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배터리 셀 경쟁력을 높이고, 배터리 안전 기술을 고도화하는 등 고객 가치 실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2030년까지 보급형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신규 개발해 고객들에게 보다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보급형 NCM 배터리는 니켈 비중을 조정함으로써 기존 NCM 배터리 대비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현대차는 배터리 에너지 밀도 개선도 지속해서 추진하며 2030년까지 20% 이상 에너지 밀도를 높일 계획이다.

현대차는 배터리 안전 관련 기술의 고도화도 꾸준히 추진한다. 현재도 적용되어 있는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이상 사전 진단 기술을 더욱 강화하고, 배터리 시스템의 안전 구조 확보에도 힘을 쏟는다. 특히 외부 충격 등으로 배터리셀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배터리 셀 간 열 전이를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해 적용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배터리 개발 역량 내재화를 통해 현대차에 최적화된 배터리 CTV(Cell to Vehicle) 구조도 도입하기로 했다. 배터리와 차체가 통합된 CTV 구조에서는 부품을 줄이고 배터리 집적도를 개선함으로써 이전 CTP(Cell to Pack) 대비 배터리 시스템의 중량은 10% 감소하고 재료비는 절감되며, 냉각 기술 고도화를 통해 열전달 성능은 최대 45% 개선된다.

또 현대차는 올해 12월 현대차 의왕연구소 내 완공 예정인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에서 전고체 배터리를 비롯해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가속할 계획이다.

소프트웨어 기술력 고도화로 이동 경험 혁신

현대차는 중장기 전략 ‘현대 웨이’ 실행을 위한 두 번째 상세 전략으로 ‘모빌리티 게임체인저(Mobility Game Changer)’를 제시하면서, SDV(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진화하는 자동차) 개발과 다양한 모빌리티 신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모빌리티 생태계 변화를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현대차는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안전하고 뛰어난 자율주행 기술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자율주행 데이터 수집과 동시에 자동으로 AI 모델을 학습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있으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자율주행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안정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자율주행 컴퓨팅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현대차는 자율주행 차량의 인지-판단-제어를 일괄 수행하는 ‘End-to-End 딥러닝 모델’을 구현하고, 향후 주행 중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 없는 자율주행 레벨 4까지 확장 가능한 솔루션으로 이를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고도화된 자율주행 기술과 글로벌 최고 수준의 자동차 개발 역량, 제조 경쟁력을 활용해 다양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술 업체에 자율주행 차량을 판매하는 파운드리 사업도 추진한다.

레벨4 이상의 자율주행 구현에 필수적인 항목들을 플랫폼화해 개발하고, 자율주행 차량 플랫폼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각 소프트웨어 업체는 각 사에 특화된 자율주행 차량을 공급받고 서비스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현대차 또한 모셔널의 자율주행 기술력을 중심으로 로보택시 서비스를 미국, 유럽, 아시아태평양 등 다양한 시장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SDV 시대가 본격화되면 다양한 차량 내 서비스가 탄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사용자 중심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오픈형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이미 많은 사용자와 개발자가 확보되어 있는 인포테인먼트 운영체제(OS)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를 기반으로 고객 선호에 맞는 여러 비율의 중앙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2026년 상반기부터 양산 차량에 순차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2026년 하반기에는 차량용 고성능 컴퓨터 기반의 전기·전자 아키텍처(컴퓨터 시스템)를 적용한 SDV 페이스 카(Pace Car)를 공개하고 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자율주행과 AI 기능을 구현해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실증할 방침이다. 이후 본격적으로 SDV 기술 및 서비스를 전 차종으로 확대 전개해 나감으로써, 현대차의 모든 모델에서 개선된 이동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 SDV 페이스 카: 소량 생산해서 검증하는 차량

수소 기술 역량 강화로 수소 사회 조기 전환에 매진

‘현대 웨이’를 추진하기 위한 또 다른 축은 수소 에너지 기술과 사업 역량을 강화하는 ‘에너지 모빌라이저(Energy Mobilizer)’ 전략이다. 이를 통해 현대차는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이 수소로 전환되는 시기에 준비된 에너지 사업자로서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술과 솔루션을 중심으로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 ‘HTWO’를 통해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 앞장서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2045년까지 자동차 생산·운행·폐기까지 전 단계에 걸쳐 탄소 순배출 제로(0)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현대차는 올해 초 열린 CES에서 현대차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인 ‘HTWO’를 공개하고, 수소 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길 HTWO Grid 솔루션을 발표한 이후 수소 관련 실증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와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수소 생산 모델을 실증하는 합작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미국의 ‘캘리포니아 항만 친환경 트럭 도입 프로젝트(NorCAL ZERO, 노칼 제로)’의 공식 친환경 상용 트럭 공급사로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30대를 공급했다.

이 밖에도 글로비스 아메리카와 협력해 조지아주 신공장 HMGMA에 친환경 물류체계인 HTWO 로지스틱스 솔루션을 올해 말까지 도입하고 HMGMA를 중심으로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나아가 현대차는 트램, 선박, 경비행기, 발전기, 중장비 등 다양한 분야로 연료전지 시스템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10년간 120.5조원 투자… 영업이익률 10% 달성

현대차는 ‘현대 웨이’ 실행과 지속적인 수익 창출, 미래 모빌리티 사업 확대를 위해 △2024~2033년 10개년 간 120조5000억원을 투자하고 △2030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 10% 이상을 달성하는 내용의 중장기 재무 전략을 발표했다.

현대차는 구체적으로 10년간 △R&D 투자 54조 5000억원 △설비투자(CAPEX) 51조6000억원 △전략 투자 14조4000억원 등의 계획을 공개하며,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과감한 투자와 실행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고 현대 웨이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현대 웨이 상세 전략별로 보면 ‘현대 다이내믹 캐파빌리티(Hyundai Dynamic Capabilities)’ 실행에 전체 투자액의 77%에 달하는 92조7000억원이 투입된다. 이 중 R&D 투자가 37조4000억원, 설비투자가 50조8000억원이다. 이를 통해 전동화 전환기에 징검다리 역할을 할 차세대 하이브리드 및 EREV 모델 개발 그리고 배터리 경쟁력 확보 등을 추진하고 수익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모빌리티 게임체인저(Mobility Game Changer)’ 전략에는 22조1000억원을 투자해 자율주행 기술을 고도화하고 SDV 전환을 본격적으로 진행하는 한편 AAM(미래항공 모빌리티), 로보틱스와 같은 신사업 추진도 뒷받침한다.

‘에너지 모빌라이저(Energy Mobilizer)’ 전략에는 5조7000억원을 투자하고 수소 에너지 기술과 사업 역량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수소 밸류 체인의 사업화를 위한 외부 파트너십을 맺는 등 수소 생태계를 구축에 나선다.

현대차는 현대 웨이를 통해 중장기 시기별로 유연하게 시장에 대응하면서 전기차 성장 둔화기를 극복하고 영업이익률은 점차 끌어올릴 계획이다.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 EV의 수익성을 모두 개선해 2030년에는 연결 기준 1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기업가치 제고 위한 주주환원 정책 ‘밸류업 프로그램’

한편 현대차는 이날 주요 대기업 중 최초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주주환원 정책을 골자로 하는 밸류업 프로그램도 발표했다. 배당과 자사주 소각을 포함한 TSR(총주주환원율) 기준 주주환원 정책 도입, ROE(자기자본이익률) 개선 목표 지향과 최소 배당금 도입, 자사주 매입 규모 설정 등이 주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현대차는 2024년 귀속 연간 배당금부터 최소 배당금 1만원 정책을 시행해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DPS(주당배당금)를 지급한다. 또한 향후 3년간 보통주와 우선주를 포함해, 총 4조원의 자사주 매입 규모를 설정할 계획이다.

이어 2025~2027년에는 매년 최소 35%의 TSR 기준 주주환원 정책을 시행한다. 현대차는 당기순이익 중 배당금의 비율을 이미 최소 25%로 설정하고 있는데,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을 합쳐 10% 포인트를 더 높인 뒤 TSR 35%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3년 평균 9~10% 수준인 ROE는 2025~2027년 기간에 3년 평균 11~12% 수준으로 높일 예정이다.

현대차는 2025년부터는 2500원의 분기 배당을 실시할 방침이다. 기존 분기 배당 2000원 대비 25% 상향된 금액이다. 또한 자사주 매입과 소각 시 당해년도 TSR 범위 내에서 우선주 디스카운트(저평가)를 감안해 실시하기로 했다.

byline bar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engineers channel
Continue Reading

Features

지멘스 EDA 실리콘 시스템 부문 CEO, 차세대 IC 설계 위해 AI 모멘텀 탑재한다

마이크 엘로우 CEO는 “지멘스 EDA는 조기 소프트웨어 검증, 제조 인식 설계, AI로 강화된 설계 자동화 툴링, 개방형 에코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Published

on

By

지멘스, 국내 대표 연례 EDA 행사 ‘Siemens EDA Forum 2024’ 개최

마이크 엘로우(Mike Ellow) 지멘스 EDA 실리콘 시스템 부문 CEO, ‘상상력 구현 - 시스템 설계에 대한 통합 접근법”이라는 주제의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
마이크 엘로우(Mike Ellow) 지멘스 EDA 실리콘 시스템 부문 CEO가 ‘상상력 구현 – 시스템 설계에 대한 통합 접근법”이라는 주제의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image. 지멘스 EDA)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지멘스 EDA 사업부는 8월 22일 잠실롯데 호텔에서 ‘지멘스 EDA 포럼(Siemens EDA Forum) 2024’을 개최했다. 이는 지멘스가 주최하는 국내 대표 연례 EDA 행사로 설계, 검증 및 제조에 대한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접근 방식을 소개했다.

지멘스 EDA 포럼 2024에서는 여러 업계 전문가, 지멘스 EDA 전문가, 고객 및 파트너가 모여 새로운 관점을 공유하고 IC 및 시스템 설계의 모범 사례를 공유했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의 마이크 엘로우(Mike Ellow) 지멘스 EDA 실리콘 시스템 부문 CEO는 “상상력 구현 – 시스템 설계에 대한 통합 접근법(Enabling Imagination – A New Era of System Design)”이라는 주제의 기조 연설을 통해, 반도체 산업이 글로벌 변화를 주도하는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마이크 엘로우 CEO는 “다양한 분야에서 반도체 기반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반도체와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높은 복잡성, 치솟는 비용, 시간 압박, 인재 부족 등 여러 도전에 직면해 있다. 현재 반도체가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핵심 제품 차별화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고품질 첨단 시스템 설계, 반도체 공정 및 고급 이기종 패키징 에코시스템의 광범위한 가용성은 성공에 매우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반도체 설계에서 미래 지향적인 기술과 혁신적인 툴을 습득하는 것이 기업 혁신과 경쟁 우위 유지의 핵심이다. 지멘스 EDA는 조기 소프트웨어 검증, 제조 인식 설계, AI로 강화된 설계 자동화 툴링, 개방형 에코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에코시스템 파트너와 협력하여 업계의 새로운 기회를 파악하고 미래에 맞추어 설계하기 위해 차세대 IC 및 시스템 설계에 지속적으로 추진력을 불어넣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멘스 EDA가 개방적이고 연결된 에코시스템, 협업으로 최적화된 제품 개발, 가장 포괄적인 디지털 트윈을 통해 ‘가속화된 시스템 설계(Accelerated System Design)’, ‘첨단 3DIC 통합(Advanced 3DIC Integration)’, ‘제조 인식 첨단 노드 설계(Manufacturing Aware Advanced Node Design)’를 지원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수요와 제품 변화의 시대에 고객이 지속적으로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마이크 엘로우 CEO는 클라우드와 AI 기술이 이미 지멘스 EDA 툴에 통합되어 있으며, 지멘스가 제품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지멘스 EDA의 AI 기반 툴을 활용한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하면서, 설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빠르게 발전하는 오늘날의 기술 환경에서 반도체는 자동차, 의료, 통신, 가전제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의 중심에 있다. 지멘스 EDA는 시스템 설계에 대한 통합 접근 방식과 포괄적인 EDA 솔루션이 결합되어 반도체 혁신을 주도하는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멘스 EDA의 포괄적인 디지털 트윈 기술은 복잡한 전자 시스템의 설계, 검증 및 제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디지털 트윈은 물리적 시스템 또는 제품을 가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전자 설계 자동화(EDA)의 맥락에서 전자 시스템 개발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한다. 지멘스 EDA는 조기 소프트웨어 검증, 제조 인식 설계, AI로 강화된 설계 자동화 기술, 개방형 에코시스템 지원, 첨단 EDA 툴을 제공하고 있으며 우리의 고객들이 차세대 고품질 첨단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byline bar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engineers channel
Continue Reading

Trending

© 2024 Copyright by Mobility Times. All rights reserved.


tel. 0505-379-1234 | e-mail. mobi@mobilitytimes.net | Powered by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Address: #260, 2F, Shinchonro 25, Seodaemun-gu, Seoul, 03785, Korea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로 25, 2층 260호 (우 03785)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전직원 스마트오피스 및 재택근무로 자율근무제 시행중입니다.]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 Times) | 등록번호: 서울 아04965 | 등록일: 2018년 2월 9일 | 사업자등록번호: 206-11-69466 | 발행처: 아이씨엔
발행인/편집인: 오승모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오승모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윤경 | 기사제보: mobi@mobilitytimes.net


모빌리티타임즈(mobility times)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