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세종시 일대,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서 규제특례 1호 유상 실증 시동
18일부터 세종서 자율주행 순환셔틀 달린다
지난 11월 20일 최초로 지정한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내에서, 자율주행 셔틀 등 교통·물류 서비스의 본격적인 실증이 시작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와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이춘희)는 12월 18일 세종정부청사 일대에서 ‘자율주행 순환셔틀 유상 서비스’ 실증 착수 기념행사를 공동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이춘희 세종특별자치시장, 국회 모빌리티 포럼의 연구책임의원인 홍성국 국회의원, 국토교통부 백승근 교통물류실장 및 민간사업자(오토노머스에이투지, 카카오모빌리티) 등 1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실제 자율주행 순환셔틀을 이용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모바일 앱(App)을 통한 탑승 예약 및 결제단계부터 탑승·이동까지 전 과정을 직접 체험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오늘 시연한 서비스는 자율차 서비스 규제특례지구인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를 최초로 지정(‘20.11.20 세종 등 6개 지구 지정)한 이후, 실제 규제특례를 받아 1호로 실증을 착수하는 서비스이다.
해당 서비스는 국토교통부, 세종컨벤션센터·국립세종도서관, 산업통상자원부를 순환하는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순환셔틀로서, 기존 세종시 주요 교통망인 간선급행교통체계(BRT)와 연계하여 세종정부청사, 국립세종도서관까지의 교통수요를 담당하는 라스트마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 ‘세종정부청사 자율주행 순환셔틀 서비스’ 주요내용
(실증기간) ‘20.12∼’22.12(24개월), (실증차량) 최초 승용차 2대(향후 확대)
(실증구간) 세종정부청사 일원(국토부→세종컨벤션센터→산업부→국토부)
(운행시간) 10∼11시, 14∼17시(15분 간격 탑승예약) *기상에 따라 변경 가능
(요금/대상) 1천원(1회 기준, 잠정) / 체험단 운영 후 이용대상 확대
(안전/방역) 안전요원 1∼2인 동승 / 전문업체에 의한 차량 방역 실시
향후, 국토교통부는 세종시를 시작으로 다른 시범운행지구에서도 여러 서비스가 조속히 실증을 착수할 수 있도록, 필요한 규제특례를 적극 검토‧허가할 계획이며, 시범운행지구도 확대될 수 있도록 ‘21년도 1분기(잠정)에 2차 시범운행지구 위원회를 개최하여 추가 지정도 검토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 참석하여 서비스 전 과정을 직접 체험한 세종특별자치시 이춘희 시장은 “세종시는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서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제도를 활용한 자율차 상용화 서비스에 선도적으로 나서겠다”면서, “향후 대전, 충남, 충북과 함께 충청권 협력사업으로 ’충청권 자율차 상용화 지구‘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며, 서비스와 함께 혁신적인 인프라도 함께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또한, 홍성국 국회의원은 “자율차 기술이 고도화되는 변혁의 시대에 국회 차원에서도 고민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토교통부 백승근 교통물류실장은 “오늘부터 실증에 착수하는 서비스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더욱 본격적으로 다양한 자율주행 서비스가 발굴‧실증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무엇보다도 안전이 최우선인만큼, 다양한 서비스 실증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예방‧관리해 나가겠다”라고 덧붙였다.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
News3개월 ago
친환경차·화물차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제도 연장한다
-
News3개월 ago
‘2024 하반기 C-ITS 상호호환성 시험(K-Plugtest)’ 개최
-
Policy3개월 ago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에 판교형 테크노밸리 만든다
-
Policy3개월 ago
정부가 직접 전기차 배터리 인증 및 이력관리 나선다
-
News3개월 ago
엔발리오, 2040년까지 온실 가스 배출량 100% 감축한다
-
News3개월 ago
이노카,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솔루션 미래차 부문 대상 수상
-
News3개월 ago
스바루의 차세대 아이사이트 스테레오 카메라 전면 감지 시스템의 이미지 센서의 주요 공급업체로 온세미 선정
-
News2개월 ago
인피니언의 차량용 MCU AURIX™ TC3x, FreeRTOS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