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롯데쇼핑과 빈블러 물류센터, 스마트물류센터 인증
롯데쇼핑 e Grocery 부산 물류센터와 빈블러 DDP 물류센터가 스마트물류센터로 새롭게 인증받았다
국토부, 24년도 제3호 스마트물류센터 신규 인증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11월 5일 롯데쇼핑 e Grocery 부산 물류센터와 빈블러 DDP 물류센터를 2024년 제3호 스마트물류센터로 인증한다고 밝혔다.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제도는 첨단·자동화된 시설, 장비 및 시스템을 도입해 효율성·안전성·친환경을 갖춘 물류센터를 국가가 스마트물류센터로 인증하는 제도로 2021년 7월 도입 이후 이번 인증까지 총 51개소를 인증했다.
스마트물류센터로 인증받으면 건축 또는 첨단·자동화 장비 구입에 필요한 비용의 대출이자 일부(0.5~2%p)를 지원받을 수 있다.
국토교통부 김근오 물류정책관은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제도는 기존 물류센터를 첨단 물류센터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민간기업을 지원하는 핵심 사업”이라며, “업계의 관심 및 참여도가 높아지는 만큼, 앞으로도 물류기업들이 물류 스마트화에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물류산업이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롯데쇼핑 e Grocery 부산 물류센터
이번에 1등급 인증을 받은 롯데쇼핑 e Grocery 부산 물류센터는 데이터 및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수요예측과 재고 관리는 물론, 상품 보관, 포장, 배송을 포함한 모든 물류 과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지는 첨단 물류센터이다.
e 글로서리(e Grocery) 부산 물류센터의 핵심은 상품을 보관하는 바둑판 모양의 격자형 레일 설비인 ‘하이브(hive)’와 피킹 및 패킹을 담당하는 로봇인 ‘봇(bot)’이다. 하이브에는 최대 4만 5000개 이상의 품목을 보관할 수 있고, 1000대 이상의 봇들이 하이브 위를 최대 초속 4m로 이동하며 상품을 옮기고 포장한다.
이러한 격자형 형태의 자동창고 설비 도입으로 상품 집적 효율성을 높여 동일면적의 물류센터보다 2배 가량 많은 보관능력과 함께 배송 처리량 역시 약 2배 늘어난 3만 3천여건으로 늘어났다.
빈블러 DDP 물류센터
2등급 인증을 받은 빈블러(Binblur) DDP 물류센터는 동대문 의류 도매시장 상인들을 대상으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센터로 도심의 지리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우수한 공간 활용 및 GTP 방식의 장점을 가진 자동창고 설비를 적용했다.
GTP(Goods To Person) 방식은 작업자가 출고할 상품을 직접 가지러 가지 않아도 상품이 작업위치로 옮겨지는 자동화 시스템이다.
또한, 기존 동대문 도매시장의 특성상 개인이 상품의 발주, 생산, 입ㆍ출고 등 작업정보를 수기로 관리하던 것을 자체 개발한 동대문 맞춤형 물류프로그램을 적용해 물류센터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크게 개선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2021년부터 기존 물류센터를 초고속 화물 처리가 가능한 첨단센터로 전환하기 위해 스마트물류센터 인증제도를 도입해 운영중이다. 센터 건축 전 설계도 등으로 인증하는 예비인증과 준공 이후의 본인증으로 구분되며, 현재까지 총 51개소 물류센터가 신규 인증을 받았다.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
Global1개월 ago
로빈 쩡 CATL CEO, ‘탄소-제로 신규 인프라’ 이니셔티브 강조
-
Features1개월 ago
바스프, 차세대 IGBT 반도체 위한 고성능 폴리프탈아미드(PPA) 소재 출시
-
News1개월 ago
한국전력, 기아와 PBV 활용한 ‘미래 전동화 및 전력 생태계 구축’ 업무협약
-
EnglishNews1개월 ago
Teradyne Robotics and Siemens Showcase the Future of U.S. Automation at MxD
-
News1개월 ago
L&T 테크놀로지 서비스, 엔비디아 AI 기반 최첨단 AI 체험존 공개
-
Global1개월 ago
슈나이더 일렉트릭, 알스톰과 철도 모빌리티 산업 협력
-
Global1개월 ago
Teradyne Robotics와 Siemens, MxD에서 미국 자동화의 미래 선보여
-
Global1개월 ago
EU, 2050년까지 지속 가능한 도시 모빌리티 구축에 1조 5000억 유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