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s
[기획] 자율주행차에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스스로 주행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안에서 우리는 어떤 자유를 누릴 수 있을까? 자율주행 시대에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미래 기술을 만나보자.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이처럼 자율주행 기술이 현실이 되면 차내 생활은 큰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아울러 차내 경험(In-Car Experience)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그와 관련된 기술들이 하나 둘씩 공개되고 있다. 이동의 개념이 달라질 완전 자율주행 시대, 이 새로운 미래를 대비한 기술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차량 실내를 생활 공간으로 바꿔주는 시트 기술
자율주행 기술이 현실이 되면, 자동차의 실내는 이동을 위한 공간에서 생활 공간으로 바뀌고, 공간의 자유가 허락된다. 더 이상 운전자는 운전석에 얽매일 필요가 없으며, 시트 배치가 고정돼 있을 이유도 없다. 현대트랜시스는 지난 2016년부터 자율주행 시트 개발에 착수해 현재는 2세대 자율주행 시트 기술을 선보였다. 1세대 자율주행 콘셉트 시트의 경우, 상황에 따라 이지 액세스(Easy Access), 자율주행(Autonomous),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릴랙스(Relax), 카고(Cargo) 모드를 제공하며, 각 모드에 맞춰 시트의 위치와 각도 조절은 물론, 180도 회전하는 스위블(Swivel) 기능도 갖추고 있다.
시트를 자유롭게 움직여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고 탑승객의 편의를 더하는 기술은 현대차 EV 콘셉트 45에도 적용됐다. EV 콘셉트 45는 실내 공간을 극대화하기 위해 슬림 시트를 적용했으며, 시트가 회전하는 스위블 기능으로 뒷좌석 탑승객과 마주 보고 앉거나 편하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아울러 EV 콘셉트 45는 사용자 맞춤 인테리어 콘셉트를 통해 이동 공간에서 삶의 공간으로 진화하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가능성을 예고하기도 했다.
2세대 자율주행 콘셉트 시트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센터콘솔을 삭제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암레스트를 탑재했다. 스마트 암레스트는 기능 조작이 필요할 때에만 위로 올라와 공간 효율성과 편리성을 동시에 추구한 점이 특징이다. 또한 2세대 자율주행 콘셉트 시트는 제네시스 브랜드에 걸맞은 품질과 디자인을 가미해 고급스러운 실내 인테리어를 연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VIP 탑승객을 위한 냉·온장 기능의 컵홀더를 마련하고, 시트 표면에는 친환경 소재인 재활용 울과 입체 프린트 기법인 지오닉(Geonic) 패턴을 적용해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자율주행 환경에 대응하는 안전 기술
자율주행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진화한 안전 기술도 선보이고 있다. 자율주행차의 시트는 배열이 자유롭기 때문에 기존의 에어백으로는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은 허그 에어백(Hug Airbag)과 같은 기술로 안전 기술의 혁신을 꾀하고 있다. 허그 에어백은 이름의 의미대로 탑승객을 껴안듯 감싸 보호하는 개념이다. 3개의 챔버(공기 주머니)와 테더(에어백의 형태를 유지하고 승객의 하중을 견디는 끈 형태의 부품)로 구성돼 있으며, 정면 보호 기능과 측면 보호 기능을 분리해, 어느 각도에서 충격이 오더라도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비자율주행 운전자까지 배려한 윈도우 디스플레이 기술
스마트한 이동을 책임지는 인포테인먼트 기술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과 함께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기술 또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자동차 실내에는 디스플레이의 대형화를 비롯해 새로운 제어 기술이 빠르게 적용되고 있는데, 완전 자율주행 시대가 다가올 수록 이런 변화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2020 CES에서 하만과의 공동 개발을 통해 디지털 콕핏 2020을 공개했다. 디지털 콕핏은 총 8개의 디스플레이와 8개의 카메라를 통합해 운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제공과 안전 지원이 가능하고, 5G 기술을 활용한 화상회의 기능과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운전자 안면 인식 기능을 활용하는 개인 맞춤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역시 디지털 콕핏의 핵심 기능 중 하나다.
차량 제어 방법은 버튼 및 다이얼을 직접 조작하는 방법에서 터치 제어, 제스처 컨트롤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현대차그룹은 보다 진보한 터치 기술로 자율주행 차량에 걸맞은 제어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개발한 차세대 터치 기술은 소재나 형상에 관계없이 차량 내 모든 부위에 터치 센서를 이식할 수 있다. 예컨대, 송풍구 부위를 직접 쓸어 내리는 조작으로 에어컨의 바람 세기를 줄일 수도 있다. 이처럼 탑승객은 차량 어디에서나 직관적인 터치 제어가 가능하며, 조작부와 인테리어 사이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실내 공간에도 혁신적인 변화가 찾아올 것으로 보인다.
자율주행 환경에 최적화된 음향 기술
오디오는 자율주행 시대의 중요한 미래 기술로써 진보한 엔터테인먼트 환경을 제시한다. 콘티넨탈과 젠하이저는 지난 2020 CES에서 스피커가 없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을 공개한 바 있다. 이 기술은 액추에이터로 차량 내 다양한 표면을 자극해 소리를 생성한다. 스피커가 없기 때문에 최대 40kg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실내 공간도 더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가장 큰 장점은 음향 효과다. 대시보드, 필러, 인테리어 트림, 천장 등 차량 내 다양한 표면에서 소리가 나기 때문에 탑승자의 위치와 관계없이 훌륭한 사운드를 경험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독립음장 제어 시스템을 개발했다. 독립음장 제어 시스템은 특정 공간에서 독립된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음장(소리가 존재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운전석에 앉은 사람은 뉴스를, 뒷좌석에 앉은 사람은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기술은 특히 자율주행 자동차 안에서 더욱 활용도가 높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탑승자의 위치가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사무, 휴식,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개인화된 사운드 환경은 미래 자율주행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율주행 시대가 이끄는 차량 실내 공간의 변화
이 밖에도 미래의 자율주행 차량은 다양한 첨단 기술과 접목돼 보다 다채로운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자율주행차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웰니스 케어’를 선보였다. 이 기술은 측정기를 통해 탑승자의 스트레스, 심박수, 심박변이도, 기분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헬스 케어 기술은 비대면 건강 진단, 탑승자의 응급상황 확인 등 자율주행 기술과 연계해 높은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다.
아울러 차량 내 결제 시스템인 카페이, 내비게이션을 무선으로 자동 업데이트하는 OTA(Over The Air), 자연어 음성 인식이 가능한 인공지능 비서, 차량에서 집 안의 홈 IoT 기기를 제어하는 카투홈 등 현대차그룹이 이미 다양한 차종에 적용 중인 첨단 사양도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한 미래 기술로 손꼽히고 있다.
현대차그룹을 비롯한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와 IT 기업들이 선보이는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들은 빠르게 양산차에 적용돼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 나올 신기술들은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길 것이다. 이 기술들은 자율주행차 안에서 우리의 이동 경험을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바꿀 것으로 보인다. 이동을 위한 공간이었던 자동차의 실내가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 변모하는 자율주행 시대를 기대해보자.
-
Features4주 ago
바스프, 차세대 IGBT 반도체 위한 고성능 폴리프탈아미드(PPA) 소재 출시
-
News4주 ago
한국전력, 기아와 PBV 활용한 ‘미래 전동화 및 전력 생태계 구축’ 업무협약
-
News4주 ago
L&T 테크놀로지 서비스, 엔비디아 AI 기반 최첨단 AI 체험존 공개
-
EnglishNews4주 ago
Teradyne Robotics and Siemens Showcase the Future of U.S. Automation at MxD
-
Global4주 ago
Teradyne Robotics와 Siemens, MxD에서 미국 자동화의 미래 선보여
-
Global4주 ago
EU, 2050년까지 지속 가능한 도시 모빌리티 구축에 1조 5000억 유로 필요하다
-
News4주 ago
에이디링크, SimProBot과 협력하여 Tallgeese AI 온프레미스 워크스테이션 솔루션 출시
-
Global4주 ago
에너지 저장 시스템 위한 차세대 고효율 전력변환기술 개발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