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s
현대로템, AI 무인기로 부산항 스마트 항만 진화 이끈다
현대로템이 부산 신항에 스마트 물류 핵심 설비인 항만 AGV를 공급키로 했다고 밝혔다
현대로템, 부산 신항 7부두에 항만 AGV 57대 추가 공급
국내 스마트 항만 구축 선도한다

현대로템이 부산 신항 7부두에 항만 무인 이송 장비(AGV) 57대를 추가 공급하며 국내 최초 완전 자동화 스마트 항만 구축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물류 효율을 극대화하며 국내 스마트 물류 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쓰고 있다.
현대로템이 부산 신항에 스마트 물류의 핵심 설비인 항만 AGV(Automated Guided Vehicle, 무인이송장비)를 추가로 공급한다. 현대로템은 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DGT)으로부터 부산 신항 7부두 항만 AGV 공급 사업의 발주의향서(LOI)를 수령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현대로템은 본계약 절차를 거쳐 부산 신항 7부두에 항만 AGV 57대와 함께 차량 운영에 필요한 관제 시스템, 충전기 등 부대 설비를 공급할 예정이다.
항만 AGV는 부두의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하차 장소까지 자동으로 이송하는 항만 물류 자동화의 핵심 설비로 꼽힌다. 현대로템은 이미 2023년 DGT로부터 부산 신항 7부두 항만 AGV 43대를 수주하여 개장에 맞춰 적기에 공급한 바 있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총 100대의 AGV를 부산 신항 7부두에 납품하게 된다. 또한 지난해에는 광양항 자동화 부두 AGV 44대 공급 사업을 수주하는 등 3년 연속으로 스마트 물류 부문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부산 신항, 동북아 스마트 물류 허브로 도약한다
이번 현대로템의 수주는 국가 핵심 전략인 북극항로 개척의 중심 거점으로 지목된 부산 신항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동북아시아권의 대표적인 글로벌 스마트 물류 허브로 주목받는 부산 신항은 최근 선박 대형화와 세계적인 물동량 증가 추세에 발맞춰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물류에 접목하는 대규모 공공 부문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현대로템은 이번에 납품되는 AGV가 동북아-유럽 교역의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부산 신항 물류 고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로템은 AGV 제품 경쟁력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운영 효율 제고 방안을 수립하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에 집중해왔다. 실제 현대로템은 AGV 성능 개선은 물론 관제 시스템 고도화 등 사후 지원을 통해 DGT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 최적화 작업에 기여하고 있다. 향후 글로벌 항만 물류 자동화 시장 공략을 위해 시간당 컨테이너 처리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AGV 연구개발(R&D)에도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유지보수 분야도 더욱 체계화하여 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국산 AGV, 국내 산업 생태계 조성의 주역으로 나선다
현대로템은 항만 AGV의 국내 제작 이점을 활용하여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차체와 주요 기능품의 국산화 비율을 높여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 항만 부품 공급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스마트 물류 산업의 역량 강화에도 힘을 보탠다는 것이다. 유지보수 기간과 가동률이 가장 중요한 스마트 물류 부문은 국산화 비율이 높을수록 외산(外産) 대비 더욱 신속한 사후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스마트 항만 기술 경쟁력 강화와 관련 국내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연구개발에 힘써 국산 항만 AGV의 핵심 기술 역량을 제고하고 있다”며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고품질의 항만 AGV를 적시적기에 공급하고 최적화된 사후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현대로템의 AGV 공급이 부산항을 넘어 대한민국 스마트 항만의 미래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주목된다.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