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s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포지셔닝 기능 강화한 차세대 블루투스 SoC 출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블루투스(Bluetooth®) 방향탐지 기술로 위치 추적 및 실시간 포지셔닝 기능을 강화한 3세대 블루투스 SoC(system-on-Chip)를 출시했다.
블루투스 5.3 인증 BlueNRG-LPS SoC는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의 방향을 결정해 센티미터 단위의 정확도로 움직임과 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안테나 어레이에서 포착한 신호로 AoA(Angle-of-Arrival) 및 AoD(Angle-of-Departure)를 모두 계산할 수 있는 블루투스 사양에 지정된 기술을 사용한다.
업체측은 “이 SoC는 이러한 기능을 통해 툴, 자산, 상품에 대한 실시간 위치 확인은 물론, 실내 내비게이션, 지오펜싱(Geofencing), 자산추적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블루투스 5.3의 긴 도달거리와 2Mbps의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주기적 애드버타이징, 동시 연결, 다중 역할 사양을 지원하므로 BlueNRG-LPS로 구동되는 장비는 탁월한 사용자 경험을 보장해준다. 강화된 보안 기능을 지원하는 전용 하드웨어 기능과 암호화 IP도 제공된다.
BlueNRG-LPS는 경량의 최종 제품에 적합한 크기로 간소화된 아키텍처, I/O 주변장치, 프로그램 및 데이터 메모리(각각 192KB eFlash 및 24KB SRAM)를 갖춰 비용에 민감한 대량생산 애플리케이션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범용 무선 센서, 의료기기, 무선도어잠금장치(Keyless-Entry System), 원격 제어, 스마트 원격 계량기 등이 있다. 또한 이 SoC는 고효율 스텝다운 컨버터와 보호 회로를 통합하고 있어 필요한 부품원가(BoM)를 정리 및 절감하며, 훨씬 저렴한 2-레이어 PCB 설계를 지원한다.
또한 이 아키텍처는 최신 블루투스 LE 출력 제어 사양을 지원하기 때문에 RF 출력 파워를 1dBm 단위로 증가시켜 최대 +8dBm까지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배터리 구동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Products
넥스페리아, 시장 선도 효율의 웨이퍼 레벨 12, 30V MOSFET 출시
공간이 제한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전력을 절약하고 열 관리를 간소화해

핵심 반도체 전문업체인 넥스페리아(Nexperia)가 공간이 부족하고 배터리 사용 시간이 중요한 곳에서 에너지를 더 많이 사용하도록 초소형 웨이퍼 레벨 DSN1006 패키지에 시장을 선도하는 RDS(on)가 포함된 PMCB60XN 및 PMCB60XNE 30V N 채널 소형 신호 트렌치 MOSFET 제품들을 출시했다.
스마트폰, 스마트 시계, 보청기 및 이어폰 등 고도로 소형화된 전자 제품에 이상적인 이 MOSFET제품들은 시스템 전력 수요를 증가시키는 여러가지 다양한 지능형 기능이 추가되는 추세를 지원한다.
이 제품들의 RDS(on)는 경쟁 소자들보다 최대 25% 우수하므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부하 스위칭 및 배터리 관리 효율성을 높여준다. 뛰어난 성능은 자체 발열을 줄여 웨어러블 장치에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Products
넥스페리아, 자동차 인터페이스 보호용 초저 정전 용량 ESD 보호 다이오드 출시
자동차 데이터 신호 무결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견고한 보호 소자

핵심 반도체 전문업체인 넥스페리아(Nexperia)가 매우 낮은 클램핑 및 초저 정전 용량의 ESD 보호 다이오드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이 포트폴리오는 USB 3.2, HDMI 2.0, LVDS, 자동차 A/V 모니터,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와 같은 고속 데이터 라인을 보호하도록 설계된 것. 특히 이 포트폴리오는 곧 출시될 고속 비디오 링크와 OPEN Alliance MGbit 이더넷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제품이다.
이번에 추가된 제품에는 최적화된 라우팅 유연성을 위해 매우 작은 DFN1006BD-2 패키지를 갖춘 2핀 단일 라인 소자인 PESD5V0C1BLS-Q 및 PESD5V0C1ULS-Q가 포함된다. PESD5V0C2UM 및 PESD5V0C2UM-Q 는 DFN1006-3패키지의 2개 차동 라인을 위한 3핀 소자다. 모든 제품들은 전기적 성능과 신호 무결성을 향상시켜주는 무연 패키지로 제공된다.
넥스페리아는 “정전기 방전(ESD) 전압 클램핑 다이오드는 자동차 서브시스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밝히고, “그러면서도 데이터 신호 무결성을 저하시키거나 시스템의 전자기 호환성(EMC)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한 넥스페리아의 이 다이오드들은 ESD 보호 솔루션 설계에 대한 오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개발된 매우 낮은 소자 정전 용량(최저 0.3pF)의 동급 최고 신호 무결성 성능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품들은 설계 유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듀얼 라인 DFN1006-3 및 단일 라인 DFN1006BD-2 패키지로 제공된다. 후자의 패키지는 자동 광학 검사 (AOI)가 가능한 측면 습식 플랭크 구조로 되어 있다.
-
News1년 ago
유니버설 로봇, “국내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에 집중할 것”
-
Global1년 ago
온세미-이모션3D, 혁신적인 운전자 및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함께한다
-
Features1년 ago
현대자동차그룹,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 공개
-
Global1년 ago
인피니언, 혁신적인 소스-다운 기술을 적용한 OptiMOS™ 전력 MOSFET 출시
-
Global1년 ago
NXP, 업계 최초 보안 트라이 라디오 디바이스 발표
-
Products1년 ago
DELO의 UV 접착제, 증강 현실 HUD의 홀로그래픽 포일 통합성 향상
-
Policy1년 ago
충전소에서 직접 생산한 전기로 전기차를 충전한다
-
Features2년 ago
글로벌 커넥티드 카 시장, 소프트웨어 중심 비즈니스 모델 주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