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 with us


Features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 이사장에 한컴인스페이스 최명진 대표 선임

Published

on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KRAUV:Korea Research Association for Unmanned Vehicle)의 신임 이사장에 한컴인스페이스의 최명진 대표가 선임됐다.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 최명진 이사장

연구조합은 지난달 25일 2021년도 정기총회 및 이사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한글과컴퓨터 그룹 계열사이자 우주.드론 전문기업인 ‘한컴인스페이스’ 최명진 대표를 신임 이사장으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최명진 신임 이사장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출신으로 2012년 한컴인스페이스를 창업, 항공우주 위성 지상국 분야 기술 1위 기업으로 성장을 이끌었다. 위성 지상국 구축 및 운영에서부터 인공지능 기반의 위성·드론 영상 분석에 이르기까지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난해 한컴그룹에 편입됐다.

지난해 8월 설립된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은 한컴인스페이스와 LG전자, 네스엔텍, 성우엔지니어링 등 30여개 기업을 중심으로 항공우주연구원(KA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등의 관련 연구기관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해양대학교 등의 대학 등 육해공 무인이동체 분야의 산학연 80여 곳이 참여하고 있다. 연구조합은 과기부 주요 R&D 프로젝트인 무인 이동체 원천기술 개발사업과 DNA+드론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전문인력양성과 무인 이동체 표준화, 산업 실태조사 등의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최명진 신임 이사장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협회, 학회와 함께 공동 연구 및 행사를 추진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무인이동체 기술 역량 강화와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Continue Reading
Advertisement

Click to comment

댓글 남기기

Features

카카오모빌리티, 영국 UAM 제조사 버티컬과 국내 상용화 협업

카카오모빌리티는 버티컬과 지난 5월 17일 카카오모빌리티판교사옥에서 ‘UAM 서비스 관련 파트너쉽 체결’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Published

on

By

국내 UAM 서비스 상용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멀티모달 모빌리티 사업 구상

카카오모빌리티, 영국 UAM 제조사 버티컬과 국내 상용화 MOU
스티븐 피츠페트릭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 대표(왼쪽)와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지난 17일 카카오모빌리티 판교사옥에서 ‘UAM 서비스 관련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영국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 이하 버티컬)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에 대한 국내 상용화를 위한 협업을 추진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버티컬과 지난 5월 17일 카카오모빌리티판교사옥에서 ‘UAM 서비스 관련 파트너쉽 체결’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버티컬과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에서 UAM 서비스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합동연구그룹(JWG)를 구성한다. 여기서는 국내 UAM 정책 방향에 따른 상용화 실행 전략을 만들고 국내 잠재 시장 규모 분석과 기체 도입 적정 규모 도출 등 사업성 검증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이 합동연구그룹은 국토교토부가 추진하는 민관합동실증사업인 ‘K-UAM 그랜드 챌린지’ 참여를 위한 글로벌 협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K-UAM 그랜드 챌린지(K-UAM GC)에는 카카오모빌리티를 비롯해 LG유플러스, GS건설 등이 컴소시엄을 구성해 참여중이다.

이와 관련해 버티컬과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5월 16일 국토교통부 세종청사에서 원희룡 장관과 만나 국내 UAM 상용화 비전과 실증사업 추진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양사는 국토부와 함께 국내 기체 인증 가이드라인 마련 계획과 함께 UAM 기체의 수출입 지원, 한-영 양국간 상호인증 체계 구축, 유럽 및 영국 등과의 국제 협력 강화 등에 관한 의견을 공유했다.

특히 카카오모빌리티는 글로벌 UAM 시장 진출을 위한 협업 방안도 구체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전 세계 UAM 시장은 기체 제조사와 버티포트 건설사 위주로 구성돼, 이용자의 접근성 확보시 주축이 될 ‘플랫폼 솔루션’ 플레이어가 전무한 상태라는 평가에 따른 것.

이에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다양한 글로벌 UAM 관계사들과 생태계를 구축해, 라이드헤일링을 넘어 지상과 상공을 포괄하는 ‘멀티모달(Multi-modal) 모빌리티’ 영역에서의 해외 진출도 모색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버티컬의 VX4 eVTOL
버티컬의 VX4 eVTOL(전기동력 수직 이착륙기) 이미지

버티컬의 VX4 UAM 기체 최대 50대 사전 주문한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협업과 함께 버티컬의 VX4 항공기 50대를 사전 주문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카카오 모빌리티는 안전 운항 기술 개발과 사회적 수용성 검토를 진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는 인공지능(AI)이 적용된 세상에서 더 빠르고 친환경적인 이동 수단이 필요한 상황에서 UAM이 가까운 미래에 게임 체인저가 될 것임을 확신한다”고 밝히고, “지상 뿐만 아니라 하늘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통합된 모빌리티 플랫폼인 카카오모빌리티는 UAM 서비스에 대한 ‘사실상의 표준’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스티븐 피츠패트릭(Stephen Fitzpatrick) 버티컬 창업자이자 CEO는 “3천만명 이상의 등록 사용자를확보하고 있는 카카오 모빌리티와 파트너십을 맺게 되어 기쁘다”고 말하고, “한국 전역에서 향후 몇 년 안에 (버티컬의) VX4로 비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버티컬의 VX4 UAM 기체는 조종사와 최대 4명의 승객을 운송할 수 있으며, 시속 240KM의 속도로 최대 160KM(100마일)의 비행이 가능하다. 또한 저소음을 구현하고, 구동에서의 오염원 배출이 없다. 버티컬의 VX4 프로토타입은 지난해 경납고 내에서 비행 시험을 완료했으며, 고도와 속도 조절 및 수직비행에서 수평비행으로 전환하는 시험 비행 프로그램을 앞두고 있다.

또한 버티컬은 이미 일본에서의 UAM 상용화에도 적극 나서고 있는 중이다. 2025년 오사카 세계박람회를 목표로 일본 마루베니(Marubeni Corporation)와 지난 2021년부터 협업하고 있다. 버티컬과 마루베니는 일본에서의 UAM 항공기 운영 요구사항, 경로 및 네트워크 계획, 인프라 요구사항과 같은 상업적 요구사항에 대한 공동 평가 파트너쉽을 진행중이다.

이미 마루베니는 임시 헬리콥터 기체를 사용해 오사카 헬리포트에서 와카야마에 이르는 고급항공모빌리티(AAM; Advanced Air Moility) 시연 운항을 마치고, 박람회를 위한 개념증명(PoC) 시험도 진행했다. 마루베니는 최대 200대에 이르는 VX4 사전 주문에 들어갔으며, 지난 1월에는 사전 주문 기체 중 25대에 대한 예약금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Continue Reading

Features

세계경제포럼(WEF) 이니셔티브, 도시 이동성 스코어카드 툴 개발

세계경제포럼(WEF) 이니셔티브인 Global New Mobility Coalition(GNMC)은 세 개의 시범 도시와 함께 도시 이동성 스코어카드 툴(Urban Mobility Scorecard Tool)을 개발했다

Published

on

By

부에노스 아이레스, 싱가포르, 그리고 쿠리다바트가 도시 이동성 스코어카드 이니셔티브에 선도적인 모빌리티 플레이어들과 함께 합류하다

The UMSi Tool provides cities with a way to assess progress in the transition to sustainable and inclusive mobility.
The UMSi Tool provides cities with a way to assess progress in the transition to sustainable and inclusive mobility.

지금과 같이 전 지구적으로 빠르게 도시화되는 상황에서 향후 2050년에는 세계 인구의 10명 중 7명이 도시에서 살아가게 될 전망이다. 이러한 전망은 보다 지속 가능하고 탄력적인 도시 이동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긴급성을 말해준다.

올해 유엔 기후변화 회의(COP27)에서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행동의 필요성이 인식되어 지속적으로 논의되었다.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도시 지도자와 시민들 모두가 기후 변화가 다음 5년 동안 도시가 직면할 가장 큰 과제임을 인식하고 있다.

기후 변화는 앞으로 도시가 직면할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이며, 도시는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솔루션을 구현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부문간 및 다자간 협력은 지속 가능하고 탄력적인 미래를 창출하는 핵심 요소이며, 도시는 이를 검증하는 대상이기도 하다. 도시가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며 생물다양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조치를 빠르게 추진할 때에 비로소 지구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내일의 희망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인식에서, GNMC(Global New Mobility Coalition)의 도시 이동성 스코어카드 이니셔티브(UMSi)는 세계의 도시들과 밀접한 협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시 이동성 스코어카드 이니셔티브(UMSi)는 도시와 이동성 운영자들이 탄소 배출 감축 및 다양한 도시 이동성 문제에 대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새로운 이니셔티브는 도시 지도자들과 OEM(원자재/부품 생산업체), 승차 호출, 마이크로 모빌리티, 유틸리티, 배송, 디지털 결제 및 인프라 섹터와 같은 새롭거나 전통적인 도시 이동성 생태계의 비즈니스 리더를 포함한 다른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하고 전문성을 헌신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 이동성을 지원하는 행동에 나서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공유 모빌리티
성공적인 저탄소 대중교통 개선은 개선된 이동성의 즉각적인 혜택 이상으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새로운 지속 가능한 도시 이동성 툴과 협력하는 도시

운송 부문은 전체 온실 가스 배출량의 약 45%를 차지한다. 세계 인구가 점점 더 도시에 집중하면서 대도시 지역은 배기 가스를 줄이고 대기질을 개선하는 다중 운송 대중교통 시스템을 시급히 개발해야 한다.

전기자동차(EV)는 이를 해결하는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지만, 도시는 자가용 사용에서 대중교통으로 변환하는 교통 수단의 균형을 재조정해야 한다. 자동차를 이용한 도시 확장은 대중교통을 약화시키며,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한 이동을 어렵게 만들어 사회적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인프라 비용마저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교통 체증, 교통사고, 토지 가격 상승 등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도시공간이 도로와 주차장을 위해 사용되어 주거, 녹지 및 기타 필수적 요소가 밀려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성공적인 저탄소 대중교통 개선은 개선된 이동성의 즉각적인 혜택 이상으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는 콜롬비아의 메데인(Medellin)이다. 케이블카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립된 지역 주민이 도심에서 일자리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에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도시였지만 2013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도시로 탈바꿈한 것이다. 세계경제포럼은 콜롬비아 메데인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도시(2023년)‘ 로 선정했다.

도시가 변화함에 따라 교통 시스템도 변화해야 한다. 배출 감소부터 대중교통 및 공유 교통 향상, 불평등 문제에 대한 대처까지에 이르는 새로운 도전에는 새로운 솔루션과 새로운 조치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도시는 어떻게 더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이동성으로 나아가는 진전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까?

도시를 위한 새로운 자원: 도시 이동성 스코어보드 툴

세계경제포럼(WEF) 이니셔티브인 Global New Mobility Coalition(GNMC)은 지속 가능한 이동성을 위한 도시의 여정을 지원하기 위해 3개의 시범 도시와 함께 도시 이동성 스코어카드 툴(Urban Mobility Scorecard Tool)을 개발했다. 공공 및 민간 부문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제작된 모빌리티 도구는 도시가 지속 가능한 이동성으로 나아가는 진전 상황을 평가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 이동성의 주요 문제를 다루는 평가를 통해, 도시는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모범 사례를 인식하며 조치가 필요한 분야를 식별할 수 있다. 사례 연구 및 자료와 함께 새로운 정책 및 규정의 조치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도 제공되며, 모빌리티 도구는 도시에서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이동성으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기준을 높이고 조치를 촉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공유 모빌리티, 전기화, 활동적 모빌리티 및 결제 서비스 제공 업체를 비롯한 여러 산업 분야의 이해 관계자들과 몇몇 모빌리티 비정부기구들을 통합했다. 이러한 다양한 전문 이해 관계자들은 대화 시리즈를 통해 도시에서 지속 가능한 이동성을 구현하는 데 직면한 경험과 과제를 공유하며, 지속 가능한 이동성에 대한 조치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해결책에 대한 시각도 공유했다.

전용 워킹 그룹, 직접 참석하는 행사 및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대화는 Scorecard 도구의 평가 콘텐츠 개발에 기여하여, 민간 모빌리티 플레이어가 직면한 현실적인 과제와 도시가 설정한 정책 과제 사이의 격차를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도시 이동성 스코어보드 이니셔티브(UMSi)는 도시, 모빌리티 운영자 및 인프라 제공자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다양한 문제들를 하나로 묶고 있습니다. 우리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쿠리다바트 및 싱가포르와 함께 도시 이동성에 대한 의미 있는 행동을 제공하기 위해 민간 및 공공의 목소리를 모으는 데 도움이 되는 이 이니셔티브에서 협력하게 되어 기쁩니다.”

– Maya Ben Dror, 자동차 및 새로운 모빌리티 매니저, 세계 경제 포럼

도시 이동성 스코어보드 도구는 아래와 같은 3가지 방침을 통해 도시 이동성을 조사한다.

1. 거버넌스
거버넌스 측면에서의 모빌리티 이동성 도구는 기관 조정(계획, 자금 조달 및 자원 할당), 규제(환경, 도시 차량 접근 및 데이터 관리) 및 혁신(공유 모빌리티, 시범 프로젝트 및 프로세스, 전기화)을 통해 민첩하고 적응 가능하며 미래 지향적인 도시 이동성 생태계를 어떻게 구축할 수 있는지 조사한다.

2.탄력성
탄력성 측면은 도시가 다른 용도(예: 길거리 주차)에 공간을 할당하는 방식 및 모빌리티가 그 계획 노력에 어떻게 통합되는지 조사한다. 이 측면은 공간 할당 문제(자전거, 미세 모빌리티, 보행 및 대중/공유 교통 모드에 대한 공간 할당)과 함께 보도변 관리 문제(주차 및 배송 로지스틱스 관리)를 취급한다.

3.연결성
연결성 측면은 도시의 이동성 시스템이 편리하고 접근 가능한지를 평가한다. 이 측면은 이동성의 통합(다중 모달 통합, 모빌리티 결제 및 티켓팅 및 비공식적 이동성), 안전하고 공정한 접근(접근성,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 가능성 및 도로 사용자 안전성)을 조사합한다.

도시 이동성 스코어카드 도구의 적용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코스타리카 큐리다바트, 그리고 싱가포르의 세 도시는 모빌리티 도구를 개선하고 테스트하며, 민간 부문 이해 관계자들과 긴밀한 협력에 참여했다. 이들 도시는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시각과 문제점을 공유하고, 스코어카드 도구에서 사용된 평가에 대한 자세한 피드백을 제공하며, 공공-민간 대화에 참여하며, 모빌리티 도구를 사용하여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생태계를 평가했다.

스코어카드 도구를 테스트하면서, 이들 도시는 모빌리티에 관한 다양한 질문에 답변을 제공했다. 이 과정에서, 이들 도시는 보다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모밀리티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선도하는 방법을 드러내며,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에서 중요한 문제를 대처하기 위해 도시가 야심성을 높인 부분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는 이미 견고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지만, 2030년까지 6만 개 이상의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하고 대중교통 버스 플릿의 50%가 전기차가 되는 등 전기화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한편, 성별 문제에 대한 대응에서 선도하는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주요 지역의 보행자화와 저속 지역, 대중교통 및 자전거 이용을 촉진하여 개인 자동차 이용의 증가를 억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코스타리카 산호세의 커리다바트는 도보 및 자전거 프로젝트를 위한 계획에서 생물 다양성을 포함시켜 더욱 천연자원 중심적인 솔루션을 추진하고, 향후 4년 안에 보행자 도로를 2배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 지속 가능한 도시 이동성을 위한 주요 방향
지속 가능한 도시 이동성을 위한 주요 방향

도시 이동성 툴 개발 과정에서 배운 점들

Scorecard Tool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민간부문, 공공부문, 비정부기구 등과의 대화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대화에서도 보인 것은,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로의 신속한 전환을 위해 도시와 기업이 함께 직면해야 할 다양한 구조적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를 실현하려면 여러 가지 측면에서 행동해야 한다. 도시 내 모빌리티에서 행동 변화를 이루기 위해 근본적인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는데,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투자와 자금 조달에서 발생하는 차이 극복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전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투자 결여에 대한 대처에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새로운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금이 필요하며, 차량 충전, 차량 대수 업그레이드 등에도 큰 자금이 필요하다. 또한, 민간 부문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새로운 투자 기회와 모델을 모색해야 하며, 공공 및 민간 투자를 동시에 유도해야 한다. 현재에는 많은 도시들이 재정 결정 능력에 제한이 있는 등 자금 및 투자 방법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다. 예를 들어, 누가 새로운 모빌리티 인프라나 새로운 서비스 (예: 공공, 민간, 지방 정부, 국가 정부)를 투자해야 하는지 등 책임에 대한 불확실성도 존재하는 것이다.

전기화 제공을 위한 협업 및 조치 강화
전기화된 교통은 공공 및 민간 이해 관계자 모두가 추구하는 목표이지만, 단기간에 진행 상황을 달성하려면 행동을 확대해야 한다. 교통의 전기화는 도시 행정부, 민간 운영자, 충전 공급자, 유틸리티 회사 등이 모두 행동을 취해야 하는 큰 작업이다. 도시 정부 내에서 (예: 정부 부서 또는 기관 내), 정부 간 (예: 도시 정부와 국가 정부 간) 및 공공 및 민간 섹터 간 (예: 차량 운영자 및 충전 공급자를 포함하여) 더 큰 조정과 협력이 필요하다.

모빌리티의 중심에 포용성 부여
모든 이들을 위한 교통 체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접근성과 공정성이 모빌리티 계획의 핵심에 있어야 한다. 너무나도 자주, 접근성 문제는 계획 시스템에서 후속조치로 남겨져서 지속 가능한 이동성으로의 전환에서 많은 사람들이 뒤쳐지게 된다. 도시 환경의 보편적인 디자인을 통해 보다 폭넓은 인구군 (저소득층, 여성, 노인, 어린 아이를 둔 부모, 추가적인 접근성 요구를 가진 사람들 등)의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편리하고 접근성이 좋은 대중 교통 체계를 만드는 것은 보다 효율적이고 배려 깊은 모빌리티를 제공하여 모든 사람들이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선택을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제는 행동에 나서야 할 때

앞으로 지속적으로 지속 가능한 도시 이동성의 모든 측면에 대한 행동을 전진시키기 위해 교차 부문 및 교차 산업의 협력과 조율이 필요하다. 글로벌 신규 모빌리티 연합(GNMC)은 민간, 공공, 비영리 부문의 이동성 이해 관계자들의 공동체로서 도시, 기업 및 시민사회와 계속해서 협력할 것이다. GNMC는 도시와 기업을 연결하여 도시 이동성 분야에서 행동을 촉진하고, 이동성 도구를 개발하는 작업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GNMC의 새로운 도시와의 협력은 신흥 국가에 초점을 맞춰 이루어지며, 이들 도시가 이동성 도구를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이동성으로의 전환을 위한 자신의 성과를 평가하고, 진행 상황을 측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도시는 또한 관련 이해 관계자(이동성 운영자, 인프라 제공업체 및 서비스 제공업체 등) 및 시민사회 단체와 연결할 수 있는 맞춤형 대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이동성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

이동성 도구의 개발 작업 중 작업 그룹 세션, 대화 및 이벤트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GNMC는 도시 이동성 전환에 대한 자금 조달에 대한 새로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동성 운영자, 금융 기관, 도시 행정부 및 비영리 단체는 지속 가능한 도시 이동성에 대한 투자 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작업에 참여할 것을 초대받으며, 특히 전기화와 공유 모빌리티(대중교통, 마이크로 모빌리티 및 공유 차량) 증진에 초점을 맞추어 공공-민간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단계적인 방법에 대한 공통 이해를 형성하는데 노력한다.

GNMC의 이동성 도구는 순제로 도시를 발전시키고 자연 친화적인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작업의 일부이다. GNMC에 참여하거나 Urban Mobility Scorecard 도구를 사용하는 데 관심이 있는 도시 및 조직은 다음 링크에서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initiatives.weforum.org/global-new-mobility-coalition/join-us

Continue Reading

Trending

© 2023 Copyright by Mobility Times. All rights reserved.


tel. 0505-379-1234 | fax. 0504-232-8296 | e-mail. mobi@mobilitytimes.net | Powered by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Address: #371, 51, Shinchon-ro, Seodaemun-gu, Seoul, 03786, Korea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로 51, 371호 아이씨엔 (창천동) 
[전직원 자율근무제 시행중입니다.] 

제호: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 Times) | 등록번호: 서울 아04965 | 등록일: 2018년 2월 9일 | 발행일: 2018년 2월 1일 | 사업자등록번호: 206-11-69466
발행인/편집인: 오승모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오승모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윤경 | 기사제보: mobi@mobilitytimes.net


모빌리티타임즈(mobility times)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