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 with us


Policy

디지털 뉴딜을 이끌어 갈 똑똑한(AI) 보안기업을 찾습니다

Published

on

인공지능(AI) 기반 보안 제품·서비스 개발지원 사업」 공모
2년간 10억원, 시제품 개발에서 해외판로 개척까지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원태, 이하 ‘KISA’)은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증가한 보안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 보안 제품 ·서비스 개발지원’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머신러닝, 딥러닝 등)을 활용한 정보보호 제품·서비스를 개발하는 국내기업을 시제품 개발부터 해외진출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한다. 최대 2년간 지원할 예정인 사업으로, 2021년에는(1차년) 시제품 개발 비용을 지원하며, 우수 시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 컨설팅, 개발도구 지원 등을 제공한다.

2022년에는(2차년) 상용화 가능성을 평가해 AI 기반 보안 제품·서비스 제작, 고도화 및 사업화를 지원하고, KISA의 주요 해외 거점(5개국) 연계를 통한 글로벌 시장 판로개척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와 민간의 매칭펀드 형태로 2년간 최대 10억원을 지원하며, 기업 규모에 따라 지원금 및 민간 부담금 비율이 차등 적용될 예정이다.

공모를 통해 참여기업을 모집한 후, 1차 평가에서 30개 유망기업을 발굴하고, 2차 평가를 통해 최종 15개 지원 대상을 선정한다.

공모기간은 2021년 2월 26일(금)부터 3월 26일(금)까지이며, 공모에 대한 상세정보는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www.kisa.or.kr) 및 정보보호산업진흥포털(www.ksecurity.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세 지원 내용 및 신청 방법 등에 대한 안내를 위해 3월 5일(금) 카카오 TV,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한다.

※ 카카오TV, YouTube의 ‘KISA AI 보안 기업 육성’채널에서 다시 시청 가능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들은,
1) AI를 활용하여 악성코드 탐지 등 고유 보안 기술을 고도화하는 분야,
2) 융합 보안 산업별로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을 AI를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분야,
3) I 역기능으로 인한 문제를 대응하는 분야에 지원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

2021년 AI 기반 보안 제품 및 서비스 개발지원 사업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이버 공격은 점차 정교화 및 가속화 되며, 정보보호 산업에서 인공지능 보안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켓츠앤마켓츠에 따르면, 사이버 보안에서 AI 시장 규모가 2017년 39억 6천만 달러에서 연 평균 31.38% 성장하여 2025년까지 348.1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손승현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정보보호 없이는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의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면서 “안전한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인공지능 보안 기술을 통해 이끌고, 신기술 기반의 정보보호 기업이 지속 성장 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을 강화 하겠다”고 밝혔다.

byline bar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engineers channel

Trending

© 2025 Copyright by Mobility Times. All rights reserved.


tel. 0505-379-1234 | e-mail. mobi@mobilitytimes.net | Powered by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Address: #260, 2F, Shinchonro 25, Seodaemun-gu, Seoul, 03785, Korea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로 25, 2층 260호 (우 03785) 아이씨엔 미래기술센터 
[전직원 스마트오피스 및 재택근무로 자율근무제 시행중입니다.]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 Times) | 등록번호: 서울 아04965 | 등록일: 2018년 2월 9일 | 사업자등록번호: 206-11-69466 | 발행처: 아이씨엔
발행인/편집인: 오승모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오승모 | 청소년보호책임자: 오윤경 | 기사제보: mobi@mobilitytimes.net


모빌리티타임즈(mobility times)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