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철도물류 신기술 도입으로 철도수송안전망 확충
2월 15일부터 대전조차장역서 철도물류 무선통신제어 입환 시범운영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와 한국철도공사(사장 손병석)는 철도차량 입환작업에 무선통신기술을 적용하여 2.15(월)부터 대전조차장역에서 ‘무선제어입환 시스템’을 시범운영한다고 밝혔다.
* 입환 : 열차를 편성하기 위해 차량을 연결, 분리, 교환하거나 이동시키는 작업

무선제어입환 작업 흐름도
‘무선제어입환’이란 기관사와 작업자가 서로 교신하며 철도차량을 조성(造成)하는 기존 입환과 달리, 작업자가 무선제어기(리모콘)를 통해 기관차를 움직이면서 열차의 연결·분리 등 입환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무선제어입환 시스템은 철도물류영업에 최초로 적용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차량연결 상태를 육안확인하고 무선통신으로 차량이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기존 작업자와 기관사 간 의사소통 오류에 따른 철도차량과 작업자의 충돌 등 직무사상사고의 예방이 기대된다.
기존 입환방식 하에서 최근 10년간 총 36건의 사상사고가 발생*, 36명의 사상자가 발생(사망 4명)했으나, 해외사례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면 무선제어입환을 통해 사고건수가 약 50%이상 감소**할 것으로 국토교통부와 코레일은 밝혔다.

시스템 도입 전후 입환방식 및 역할 비교
* 한국교통안전공단 철도안전처 사고통계
** 美 연방철도국「Safety of Remote Control Locomotive Operations, 2006」보고서
(일반사고) 기존 입환 255건 → 도입 후 118건(△137건, 46.3%↓)
(사상사고) 기존 입환 403명 → 도입 후 137명(△266명, 49.2%↓)
한국철도공사는 이번 시범운영을 위해 무선제어 전담조직(T/F)을 구성하고, 무선제어 입환장치가 설치된 디젤기관차 2대를 투입하였고, 안전을 고려해 기존 입환방식의 인력을 편성하고 이례상황 대비운전, 차량분야 담당자도 지정하였으며, 시범운영을 통해 입환신호체계, 운영매뉴얼, 비상조치 매뉴얼 등을 보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강희업 철도안전정책관은 “무선제어입환 시스템은 철도수송작업의 작업자 안전확보를 비롯해 사람중심의 안전문화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무선제어입환의 본격적인 도입을 위하여 올해 안으로 법규정비, 제도개선 등 지원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
Features1개월 ago
토요다, 유럽 전용 마이크로모빌리티 컨셉트 ‘FT-Me’ 공개
-
Features1개월 ago
보쉬, 지속 가능한 공급망 관리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Global1개월 ago
DHL 그룹과 네스테,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물류 실현을 위한 협력 강화
-
EnglishNews1개월 ago
Eve Air Mobility and JetSetGo to Explore Urban ATM Implementation in India
-
EnglishNews1개월 ago
Toyota Unveils FT-Me, a New Micromobility Concept for Europe
-
Opinion4주 ago
[칼럼] 엔비디아, 자율주행 안전 혁신 ‘헤일로스’ 발표… 업계 새 표준될까
-
Features4주 ago
보스턴다이나믹스, NVIDIA와 협력 확대하여 휴머노이드 로봇의 AI 역량 강화
-
Global4주 ago
NVIDIA, 자율주행 안전 위한 ‘헤일로스’ 시스템 발표.. AI 기반 차량 보안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