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정부, 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전면 폐지 발표
정부의 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에 대한 전면 폐지 의지에 따른 연구개발 예타 제도 폐지가 최종 의결됐다
정부의 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에 대한 전면 폐지 의지에 따른 연구개발 예타 제도 폐지가 최종 의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기획재정부(장관 최상목, 이하 기재부)는 2024년도 국가재정전략회의(5.17.)에서 발표된 ‘연구개발(이하 R&D)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 폐지’에 대한 세부 추진방안으로서, ‘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관리 시스템 혁신방안’을 제8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최종 의결했다.
예타 제도는 대규모 국가재정 투자 전에 사전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지난 1999년에 도입되었으며, R&D 분야는 2008년부터 예타 대상에 포함되었다.
이번 의결에 따라, 1천억원 미만의 모든 신규 R&D 사업은 일반적인 예산편성 과정을 통해 사업이 추진된다. 1천억원 이상의 기초․원천연구, 국제공동연구 등 연구형 R&D 사업은 짧은 예산 심의기간 중 심도 있는 검토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예산요구 전년도 10월에 사업추진계획을 미리 제출받아 민간 전문가 중심의 사전 전문검토를 실시한다.
정부는 “1천억원 이상의 연구장비도입이나 체계개발사업 등에 대해서는 내실 있는 사업 추진과 재정건전성 확보에 초점을 맞춰, 사업 유형과 관리 난이도에 따라 차별화된 절차를 적용하는 맞춤형 심사제도를 도입한다.”고 설명했다.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
Global2개월 ago거인 콘티넨탈의 변신, ‘아우모비오(AUMOVIO)’의 이름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 출사표
-
People2개월 ago[칼럼] BMW가 ‘노이어 클라쎄’로 던진 질문: 당신의 ‘다음 차’는 무엇으로 만들어져야 하는가?
-
Global2개월 ago‘자동차는 하드웨어’는 옛말… 보쉬(Bosch), ‘소프트웨어’로 그리는 모빌리티의 청사진
-
News4주 ago기아-광명시, 전기차 기반 커뮤니티 카셰어링 협력으로 스마트도시 조성 박차
-
News3주 ago한세모빌리티, DIFA 2025서 ‘뉴 볼스플라인 드라이브샤프트’ 공개
-
News3주 ago레티널, ‘2025 AUMOVIO InnoXperience’서 차세대 AR 광학 솔루션 선보여
-
News3주 agoKAI-KAIA, ‘서울 ADEX 2025’서 미래 항공안전·교통기술 협력 확대 MOU 체결
-
News3주 agoKAI, 서울 ADEX 2025서 AI·증강현실 접목 미래 항공우주산업 선보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