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inion
테슬라, 엔비디아 A100 GPU 탑재한 자율주행용 슈퍼컴퓨터 공개
8개의 엔비디아 A100 텐서 코어 GPU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인 1.8 엑사플롭 성능 구현
AI 컴퓨팅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www.nvidia.co.kr, CEO 젠슨 황)는 테슬라(Tesla)가 오토파일럿 및 자율주행 기능을 위해 엔비디아 GPU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테슬라의 AI 담당 수석 디렉터 안드레아 카르파티(Andrej Karpathy)는 미 현지시간 6월 19일부터 25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세계 최대 컴퓨터 비전 컨퍼런스 CVPR 2021에서 오토파일럿 및 자율주행 기능을 위한 심층 신경망(DNN) 훈련에 사용하는 자사 슈퍼컴퓨터를 공개했다. 해당 클러스터는 8개의 엔비디아 A100 텐서(Tensor) 코어 GPU(총 5,760 GPU)의 720개 노드를 활용하여 업계 최고 수준인 1.8 엑사플롭(exaflops) 성능을 구현한다.

안드레아 카르파티 디렉터는 “이 슈퍼컴퓨터는 정말 획기적이다. 실제로, 플롭 측면에서 보면 해당 슈퍼컴퓨터는 세계 5위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산업에 전례없는 수준의 컴퓨팅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는 자율자행차 엔지니어들이 최첨단 기술로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엔비디아 A100 GPU는 규모에 상관없이 가속화를 제공하여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구현하는 전세계 데이터센터를 지원하고 있다. 엔비디아 암페어(Ampere)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A100 GPU는 이전 세대보다 최대 20배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며, 요구에 따라 최대 7개의 독립된 GPU 인스턴스로 분할 가능하다.
해당 슈퍼컴퓨터는 테슬라의 자율주행에 대한 수직적 통합 접근방식의 일환으로, 이미 도로에서 주행중인 1백만 대 이상의 자동차를 사용해 지속적으로 기능을 개선하고 새로운 기능을 구축하고 있다.
자동차부터 데이터센터까지 지원
‘그림자 모드’로 구동되는 테슬라의 DNN은 실제로 차량을 제어하지 않아도 주행하는 동안 조용히 감지 및 예측을 수행한다. 이러한 예측과 모든 실수 또는 잘못된 식별은 기록된다. 테슬라의 엔지니어들은 이 같은 인스턴스를 활용해 복잡하고 다양한 시나리오의 훈련 데이터세트를 생성하여 DNN을 개선한다.
초당 36 프레임으로 녹화된 약 10초 길이의 1백만 개의 클립이 수집되어 총 1.5 페타바이트(PB)에 이르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쌓이면, DNN이 오류 없이 작동할 때까지 데이터센터에서 시나리오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는 차량으로 다시 전송되고 프로세스가 다시 시작되는 과정을 거친다.
안드레아 카르파티 디렉터는 “이 같은 방식으로 DNN을 훈련하고 이렇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컴퓨팅이 필요하다. 따라서, 테슬라는 고성능 A100 GPU를 갖춘 최첨단 슈퍼컴퓨터를 구축하게 됐다”고 말했다.

끊임없는 반복 작업
테슬라의 슈퍼컴퓨터는 자율주행차 엔지니어들에 개발 과정에서 실험과 반복에 필요한 성능을 제공한다. 안드레아 카르파티 디렉터는 “현재 구축하고 있는 DNN 스트럭처는 20명의 엔지니어로 구성된 팀이 단일 네트워크에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며, 병렬 개발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격리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DNN은 이전의 가능했던 반복작업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훈련 데이터세트를 통해 구동된다.
그는 “컴퓨터 비전은 우리가 하는 일의 핵심으로, 오토파일럿을 가능케 한다. 이를 위해 거대한 신경망을 훈련시키고 많은 실험을 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컴퓨팅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Features
글로벌 커넥티드 카 시장, 소프트웨어 중심 비즈니스 모델 주목하자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은 최근 ‘2021 글로벌 커넥티드 카 시장 전망 분석 보고서(Global Connected Cars Outlook, 2021)’를 통해 코로나 시대에 커넥티드 카 기술 구현이 크게 증가하면서 상당한 성장 기회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운전자 보호 및 위험 방지에 관한 필요성이 시급해지면서 바이오 기반 건강 모니터링 및 동작 인식과 같은 비접촉 햅틱 등, 첨단 기능에 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2021년에는 커넥티드 기능을 갖춘 신차 판매량이 약 50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 보고서는 주요 커넥티드 카와 오토 IoT 동향, EV 서비스의 필요성에 관한 인사이트와 미국과 캐나다, 유럽, 한국, 중국, 일본, 남미 등 지역별 커텍티드 카 시장 전망을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한국 지사의 심진한 상무는 “차량 내 첨단 기능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자동차 제조사와 공급사, 기술사들은 하드웨어 모델보다 수익 창출 잠재력이 더 높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앞으로 3~5년간 기존 비즈니스 모델 관련성을 유지하면서 미래 경쟁력을 갖춘 이상적인 소프트웨어 전략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강구하고 평가하는 데 힘써야 한다. 이로 인해 전기 및 전자(E/E) 아키텍처와 운영 체제 및 클라우드 역량에 대한 근본적인 정비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커넥티드 카 시장 관련 기업들은 아래와 같은 3가지 성장 전망을 주시해야 한다. :
1. 소프트웨어 중심 비즈니스 관련 텔레매틱스가 핵심 부문으로 부상: 기술사와 스타트업들이 자동차 제조사에게 차세대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는 물론, 각각의 차종별로 구현하는 로드맵 제공.
2. 차내 엔터테인먼트에 관한 새로운 관심: 해당 분야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가전 분야 공급사와 기술사, 스타트업들의 커넥티드 차량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독자적인 전략이 반드시 필요.
3. 티어1 공급사들의 소프트웨어 중심 비즈니스 모델: 티어 I 공급사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 모두를 제공하고 자동차 제조사들의 차량 내 FoD (Feature-on-demand) 출시를 위한 지원.
올해 5G 도입이 가속되면서 자율주행용 ‘데이터-리치(data-rich)’ 서비스와 ‘V2X (Vehicle-to-Everything)’ 기반을 마련하게 돼 전 세계 신차 출고량의 4~6%에 5G 기반 텔레매틱스 컨트롤 유닛(TCU)이 장착될 것이다.
또한 HMI (Human-Machine Interface) 진화로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반 센트럴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새로운 차량 모델에서 선보이고, 스마트폰 기반의 디지털 어시스턴트 기능을 모든 차량에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Opinion
차봇 모빌리티, 실리콘밸리 거장 엔지니어 ‘존 웨인라이트’ 기술 고문 선임

스타트업 차봇 모빌리티가 기술 고문으로 미국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1세대 개발 엔지니어 ‘존 웨인라이트(John Wainwright)’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호주출신인 존 웨인라이트는 ‘엔터프라이즈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ECDN) 인프라 제공 업체로 주가를 올리고 있는 콜렉티브 테크놀로지(Kollective Technology) CTO 출신이다. 그는 아마존(Amazon)의 첫번째 도서 구매 고객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존 웨인라이트는 차봇 모빌리티가 하반기 론칭 예정으로 한창 준비 작업이 진행 중인 B2C 플랫폼과 관련해 지난달 1일부터 활동을 시작했다고 차봇측은 설명했다. 특히 차봇 모빌리티의 운전자 중심 B2C 플랫폼에 대한 기술 자문 및 사업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차봇 모빌리티 강성근 대표는 존 웨인라이트 기술 고문 선임에 대해 “실리콘밸리 거장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가 차봇 모빌리티 성장에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News1년 ago
유니버설 로봇, “국내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에 집중할 것”
-
Global1년 ago
온세미-이모션3D, 혁신적인 운전자 및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함께한다
-
Features1년 ago
현대자동차그룹,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 공개
-
Global1년 ago
인피니언, 혁신적인 소스-다운 기술을 적용한 OptiMOS™ 전력 MOSFET 출시
-
Global1년 ago
NXP, 업계 최초 보안 트라이 라디오 디바이스 발표
-
Products1년 ago
DELO의 UV 접착제, 증강 현실 HUD의 홀로그래픽 포일 통합성 향상
-
Policy1년 ago
충전소에서 직접 생산한 전기로 전기차를 충전한다
-
Features2년 ago
글로벌 커넥티드 카 시장, 소프트웨어 중심 비즈니스 모델 주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