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기아 –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 구축 협력
사용 후 배터리 ESS로 재이용 또는 리튬, 니켈, 코발트 등 금속자원 회수해 재활용

기아와 SK이노베이션이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를 위한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는 사용 후 배터리의 재이용 또는 재활용을 통한 EV 고전압 배터리의 원료 선순환과 탄소절감이 목적이다.
기아와 SK이노베이션은 사용 후 배터리에서 리튬을 포함한 금속을 회수해 전기차 배터리의 친환경적 처리가 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 가능성 및 기술 기반을 확보했다고 29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해 3월, 양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의 일환으로 전기차 배터리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난 1년간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실증사업을 진행, 배터리 내 금속 회수 가능성과 효과 및 효율성 등을 평가했다.
기아는 배터리 성능평가 시스템으로 사용 후 배터리를 평가하고 잔존성능이 우수한 배터리는 현대자동차그룹 차원에서 모듈 또는 팩 단위로 나눠 에너지 저장 장치(ESS)로 재이용한다.
잔존성능이 낮을 경우 기아는 배터리를 셀 단위로 분해하고 SK이노베이션은 자체 기술로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양극재용 금속자원을 회수해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에 활용한다.
양사는 사용 후 배터리에 대해 ▲전처리(배터리 분해) ▲금속자원 회수 ▲양극재 이용 ▲배터리 제조 ▲차량 장착에 이르는 EV 배터리 순환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사용 후 배터리의 친환경적 처리를 위한 다양한 관리 모델을 만들어 ESG 경영 확대에 기여할 예정이다.
권혁호 기아 국내사업본부장은 “기아와 SK이노베이션은 사용 후 배터리 이용체계를 공동으로 조성해 전기차 대중화에 따른 제조사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경영을 강화할 것”이라며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 EV6에도 이 프로세스를 적용해 친환경 모빌리티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높일 것이다”고 밝혔다.
김철중 SK이노베이션 전략본부장은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은 글로벌 전기차 대중화에 따른 금속 자원의 수요증가에 대한 대응 중 하나이며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발생 및 국토의 환경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며 “이번 협업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확립된 사용 후 배터리 활용체계가 글로벌로 확대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
Products2개월 ago
NXP, 2세대 차량용 개발 플랫폼 ‘오렌지박스 2.0’로 SDV 시대 지원
-
News2개월 ago
엘앤에프, ‘뉴로컬리즘’ 실천하는 대구발 이차전지 소재 기업
-
News2개월 ago
그리너지, 차세대 전차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개발에 LTO 배터리 공급
-
News5일 ago
퀀텀에어로, AI 무인기로 비상대비 태세 강화
-
News2일 ago
현대모비스, 모비우스 부트캠프 통해 모빌리티 SW 인재 양성 생태계 확장
-
Features2일 ago
현대로템, AI 무인기로 부산항 스마트 항만 진화 이끈다
-
Global12시간 ago
일렉트로비트, SDV 시대 경량 ECU 위한 최적의 소프트웨어 솔루션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