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DNA + 드론 포럼’ 창립총회 개최
국내 드론 산업의 새로운 성장 모멘텀 확보를 위한 구심체로서 포럼 발족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4월 22일(목) 대전 호텔 ICC에서 새로운 드론 활용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DNA+ 드론 포럼’ 창립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창립총회에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한 가운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인 이용빈 의원(더불어민주당),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김봉수 국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의장 및 임원 인선, 회칙 의결 등을 실시하였다.
포럼은 드론 산업의 패러다임이 제조업에서 서비스로 변화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기술을 드론과 접목(이하 ‘DNA+드론’)하여 새로운 드론 활용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산ㆍ학ㆍ연 구심체이다.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이 주관하며, 산ㆍ학ㆍ연ㆍ軍 등 다양한 드론산업 이해관계자 50여개 기관으로 구성ㆍ운영 예정이다.
드론 新서비스 창출, 데이터, 플랫폼 등의 관리체계 논의 및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 DNA+드론 플랫폼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및 기술 선도 등을 주 목적으로 한다.
‘DNA+ 드론 포럼’은 ‘비즈니스 모델(이하 ‘BM’), 플랫폼, 표준화’ 등 3개 분과를 구성하여 운영된다.
BM 분과는 DNA+드론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 등 수요에 기반한 신규 BM을 발굴하고, BM별 이해관계자와 연계한 기술·산업 생태계를 구축‧활성화한다.
플랫폼 분과는 관련 기술 확산 등을 위해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 드론 서비스용 임무 데이터, 플랫폼 기술 관리체계 등을 확립하고, 기술수요조사 및 신규 사업 등을 발굴‧제안한다.
표준화 분과는 국내 DNA+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한 표준화 수요 발굴 등 국내외 표준화 활동을 수행하며, 드론 서비스 관련 규제 개선 필요사항도 발굴하여 제안한다.
과기정통부 김봉수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드론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ICT 기술과 융합하여 드론과 관련된 서비스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히고, “이번에 창립한 ‘DNA+드론 포럼’을 통해 새로운 드론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ㆍ확산시킴으로써 국내 드론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든든한 조력자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모빌리티(Mobility)의 미래 비즈니스 전략을 찾다
- 모빌리티타임즈 (mobilitytimes.net)
-
Features2개월 ago
토요다, 유럽 전용 마이크로모빌리티 컨셉트 ‘FT-Me’ 공개
-
Features2개월 ago
보쉬, 지속 가능한 공급망 관리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Global2개월 ago
DHL 그룹과 네스테,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물류 실현을 위한 협력 강화
-
EnglishNews2개월 ago
Toyota Unveils FT-Me, a New Micromobility Concept for Europe
-
EnglishNews2개월 ago
Eve Air Mobility and JetSetGo to Explore Urban ATM Implementation in India
-
Global1개월 ago
인피니언, Marvell의 차량용 이더넷 사업부 인수
-
Products4주 ago
테라다인 플리어, 차세대 산업용 음향 카메라 ‘Si1-LD’ 출시
-
EnglishNews4주 ago
FLIR Unveils Next-Generation Si1-LD Acoustic Camera for Industrial Leak